맨위로가기

칼 헨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헨리는 1913년 뉴욕에서 태어나 2003년에 사망한 미국의 신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이다. 휘튼 대학교와 북침례교신학교에서 수학하고, 풀러신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기독교 잡지 크리스처니티 투데이의 초대 편집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복음주의자의 불편한 양심》, 《하나님, 계시, 권위》 등이 있으며, 신복음주의 운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며, 기독교 신학과 사회 참여를 융합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 기독교 변증학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기독교 변증학자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조지 린드벡
    조지 린드벡은 중국과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서, 중세 연구와 교회일치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포스트리버럴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교리의 본질》을 저술하여 종교를 문화-언어적 체계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칼 헨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칼 F.H. 헨리
출생 이름칼 페르디난트 하워드 헨리
출생일1913년 1월 22일
사망일2003년 12월 7일
출신 학교보스턴 대학교
노던 침례 신학교
휘튼 칼리지
학파복음주의, 진보적인 근본주의
주요 사상전제주의적 변증학

2. 생애

칼 헨리는 1913년 뉴욕 시 맨해튼에서 독일 이민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고, 아버지는 루터교회 신자였다. 그는 성공회(Episcopal Church)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1929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했다. 1932년에는 《스미스타운 스타》 편집장이 되었다. 밀드레드 크리스티 부인과의 만남으로 회심한 그는 1933년 휘튼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을 공부했고, 1938년 시카고의 북침례교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침례교 목사가 되었다. 1947년 풀러신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1949년 Ph.D 학위를 받았다. 1956년부터 1969년까지 크리스처니티 투데이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그의 저서로는 기독교인의 사회참여의 근거를 성서의 예언자 전통과 복음주의 신학에서 찾은 《복음주의자의 불편한 양심(''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1947년 저술, 2009년 IVP에서 박세혁의 번역으로 한국에 소개됨)과 << Aspects of Christian Social Ethics >> 등이 있다.

2. 1. 초기 생애 (1913년 ~ 1935년)

칼 헨리는 1913년 뉴욕 시 맨해튼에서 독일 이민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모친은 로마 가톨릭 신자이고, 부친은 루터교회 신자였다. 성공회(Episcopal Church)에서 세례를 받았다.[3] 1929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했다. 1932년에는 《스미스타운 스타》편집장이 되었다. 밀드레드 크리스티 부인과의 만남으로 회심했다.

1933년 휘튼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을 공부했다. 헨리는 뉴욕 롱아일랜드에서 자랐으며, 1929년 고등학교 졸업 후 신문 저널리즘 분야에서 일하기 시작했다.[3] 1932년, 19세의 나이로 ''스미스타운 타임스''의 편집자가 되었고, 이후 통신원으로 뉴욕 타임스에서 일했다.[3] 이듬해 기독교인이 된 후 기독교 봉사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기로 결정했다. 프랭크 E. 게벨라인 당시 스토니브룩 학교 교장은 그에게 복음주의 자유 인문학 대학인 휘튼 대학교의 안내서를 건네주었다.[6] 그는 1935년에 휘튼 대학교에 입학하여 고든 클라크의 철학적 가르침에 큰 영향을 받았다. 휘튼 대학교 재학 중 헨리는 타자 및 저널리즘을 가르치기도 했다.

2. 2. 학업 및 교수 활동 (1935년 ~ 1969년)

칼 헨리는 1935년 휘튼 대학교에 입학하여 고든 클라크의 철학적 가르침에 큰 영향을 받았다. 휘튼 대학교 재학 중 헨리는 타자 및 저널리즘을 가르치기도 했다. 그는 휘튼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모두 받았다. 그 후 노던 침례 신학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2년에 침례교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49년 보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42년부터 1947년까지 노던 침례교 신학교에서 가르쳤다.[7] 1947년, 해럴드 오켄가, 해럴드 린델, 에드워드 존 카넬, 찰스 E. 풀러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파사데나에 풀러 신학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신학교 첫 해에 임시 학장으로, 이후에는 교수로 재직하다가 ''크리스채니티 투데이'' 잡지를 창간하기 위해 떠났다.[7]

1949년, 헨리는 "진지한 학문적 논의를 촉진하기 위한" 조직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복음주의 학자들의 모임에 참여했으며, 그 결과 조직에서 채택한 이름인 복음주의 신학회를 제안했다.[8]

헨리는 일본, 싱가포르, 인도, 라이베리아, 대한민국, 유고슬라비아, 필리핀, 네덜란드, 루마니아를 포함하여 미국 전역 및 전 세계의 대학, 대학교, 신학교 및 컨퍼런스에서 객원 교수 또는 초빙 강사로 가르쳤다. 그는 또한 1966년 베를린에서 열린 세계 복음주의 회의를 포함한 국제 회의 및 협의의 의장을 역임했다.[7] 그가 가르친 기관은 다음과 같다.[2]

기관명
아시아 신학 연구 및 선교 센터
베델 대학교 (미네소타)
크리스찬 신학 신학교
컬럼비아 성경 대학교
덴버 보수 침례교 신학교
고든 신학대학 (현재 고든-콘웰 신학대학교)
힐스데일 칼리지
홍콩 침례교 대학 (현재 홍콩 침례교 대학교)
라틴 아메리카 신학 신학교
숭실대학교
이스턴 침례교 신학교 (현재 팔머 신학 신학교로 개명)
사우스턴 침례교 신학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교
위노나 레이크 신학 여름학교



1956년, 복음 전도사 빌리 그레이엄에 의해 창간된 잡지 ''크리스채니티 투데이''의 초대 편집장이 되었다. 이 잡지는 복음주의 기독교를 위한 학술적 목소리를 내고 자유주의적인 ''Christian Century''에 도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는 1968년까지 이 잡지의 편집장을 맡았다.

2. 3. 후기 생애 (1969년 ~ 2003년)

칼 헨리는 2003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3. 사상

칼 헨리는 1946년 《현대 정신의 재구성》을 출간했다. 1947년에는 《현대 근본주의의 불안한 양심》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현대 자유주의와 근본주의의 완고함을 모두 비판하며 성경에 대한 교리적 초점을 강조하여 헨리를 복음주의 학자로 만들었다.

1956년, 헨리는 빌리 그레이엄이 창간한 ''크리스채니티 투데이''의 초대 편집장으로 1968년까지 활동했다. 이 잡지는 복음주의 기독교의 학술적 목소리를 내고 자유주의적인 ''Christian Century''에 도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983년, 헨리는 6권짜리 저서 ''하나님, 계시, 권위''를 완성했다. 그는 "인간이 하나님에 대해 진실한 말을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신적인 자기 계시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며, 다른 이야기는 추측일 뿐"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는 전제주의 변증학을 제시하며 모든 진리를 명제적이라고 보았고, 기독교 교리를 "계시의 공리에서 파생된 정리"라고 했다.[9]

3. 1. 신학적 입장

프랭크 E. 게벨라인의 권유로 휘튼 대학교에 입학한 헨리는 고든 클라크의 철학적 가르침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의 두 번째 저서 《현대 근본주의의 불안한 양심》(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영어)은 현대 자유주의를 거부하고 성경에 대한 교리적 초점을 유지하지만, 근본주의자의 완고함과 무관심함 또한 거부하는 비판적 저서이다. 이 책은 헨리를 주요 복음주의 학자 중 한 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했다.[2]

1956년, 헨리는 복음주의 기독교를 위한 학술적 목소리를 내고 자유주의적인 ''Christian Century''에 도전하기 위해 복음 전도사 빌리 그레이엄에 의해 창간된 잡지 ''크리스채니티 투데이''의 초대 편집장이 되었다. 그는 1968년까지 이 잡지의 편집장을 맡았다.

헨리의 주요 저작은 1983년에 완성된 6권짜리 저서 《하나님, 계시, 권위》(God, Revelation and Authority영어)였다. 그는 "우리 인간이 하나님에 대해 진실한 말을 할 수 있다면, 그것은 오직 신적인 자기 계시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다른 모든 하나님에 대한 이야기는 추측에 불과하다"라고 결론지었다. 그의 주요 저작에서 그는 기독교 변증학의 한 유형인 전제주의 변증학을 제시했다. 헨리는 모든 진리를 명제적이라고 여겼으며, 기독교 교리를 "계시의 공리에서 파생된 정리"라고 보았다.[9]

3. 2. 사회 참여

헨리는 1942년 전국 복음주의 협회 설립에 참여하여 수년간 이사로 활동했으며, 협회의 잡지인 ''United Evangelical Action''의 도서 편집자로 활동했다.[7] 1947년에는 해럴드 오켄가, 해럴드 린델, 에드워드 존 카넬, 그리고 라디오 복음주의자 찰스 E. 풀러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파사데나에 풀러 신학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7] 그는 신학교 첫 해에 임시 학장으로, 이후에는 교수로 재직하다가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잡지를 창간하기 위해 떠났다.[7]

1949년, 헨리는 "진지한 학문적 논의를 촉진하기 위한" 조직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복음주의 학자들의 모임에 참여했으며, 그 결과 조직에서 채택한 이름인 복음주의 신학회를 제안했다.[8]

헨리는 일본, 싱가포르, 인도, 라이베리아, 대한민국, 유고슬라비아, 필리핀, 네덜란드, 루마니아를 포함하여 미국 전역 및 전 세계의 대학, 대학교, 신학교 및 컨퍼런스에서 객원 교수 또는 초빙 강사로 가르쳤다.[2] 그가 가르친 기관은 다음과 같다:

기관명
아시아 신학 연구 및 선교 센터
베델 대학교 (미네소타)
크리스찬 신학 신학교
컬럼비아 성경 대학교
덴버 보수 침례교 신학교
고든 신학대학 (현재 고든-콘웰 신학대학교)
힐스데일 칼리지
홍콩 침례교 대학 (현재 홍콩 침례교 대학교)
라틴 아메리카 신학 신학교
숭실대학교
이스턴 침례교 신학교 (현재 팔머 신학 신학교로 개명)
사우스턴 침례교 신학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교
위노나 레이크 신학 여름학교



그는 또한 1966년 베를린에서 열린 세계 복음주의 회의를 포함한 국제 회의 및 협의의 의장을 역임했다.[7]

1980년대 초, 헨리는 종교와 민주주의 연구소의 창립 이사였으며, 1990년대 중반까지 활발하게 활동했다.

4. 비판

칼 헨리는 다른 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저작과 신념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헨리와 유사하게 사회가 기독교 윤리에 기반해야 한다고 믿지만, 헨리가 이를 실현하려는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하우어워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를 들어 칼 헨리는 기독교인이 학문, 저널리즘, 예술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다면, 그들이 그것을 잊어버린 사회에서 기독교적 비전을 다시 주장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고도로 정교한 문화적 영향력 모델을 개발했다. 그러나 헨리의 비전은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궁극적으로 동화이며, 결국 지배적인 문화에 굴복하는 것과 다름없다."[12] 하우어워스는 교회의 주된 목표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충실한 증인이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교회의 역할이 권력과 성공보다는 사랑, 환대, 용서로 특징지어지는 삶의 방식을 장려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2]

데이비드 F. 웰스는 헨리의 신학 중 일부에는 동의했지만, 헨리의 문화적 참여에 대한 생각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헨리가 기독교적 진리를 옹호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은 현재 문화에서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는 헨리의 접근 방식이 너무 협소하며 우리 사회가 직면한 광범위한 문화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지 못한다고 말했다.[11]

조지 M. 마스덴은 헨리의 저서 ''현대 근본주의의 불안한 양심(1947)''에 대해 비판하며, 그 책이 근본주의에 대한 훌륭한 비판이었고, 더 폭넓은 문화적 참여를 강조하는 복음주의의 새로운 초점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스덴은 또한 헨리의 비판이 그의 신학적, 문화적 편견에 의해 제한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헨리가 근본주의의 외부인으로서 자신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의해 눈이 멀어 다른 복음주의자들이 가질 수 있는 것보다 문화적 참여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1]

5. 저서


  • The Pacific Garden Mission영어 (존더번, 1942)
  • Remaking the Modern Mind영어 (현대 정신의 재구성) (에어드만스, 1946)
  • 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영어 (현대 근본주의의 불편한 양심) (에어드만스, 1947)
  • The Evangelical Pulpit영어 (복음주의 설교단) (에어드만스, 1948)
  • The Protestant Dilemma영어 (개신교의 딜레마) (에어드만스, 1948)
  • The Drift of Western Thought영어 (서양 사상의 흐름) (에어드만스, 1951)
  • Christian Personal Ethics영어 (기독교 개인 윤리) (에어드만스, 1957)
  • Contemporary Evangelical Thought영어 (현대 복음주의 사상) (채널 프레스, 1957) (편집)
  • Evangelical Responsibility in Contemporary Theology영어 (현대 신학에서의 복음주의적 책임) (에어드만스, 1957)
  • Revelation and the Bible영어 (계시와 성경) (베이커, 1958) (편집)
  • Basic Christian Doctrines영어 (기본적인 기독교 교리) (베이커, 1962)
  • Evangelicals at the Brink of Crisis영어 (위기의 문턱에 선 복음주의자들) (워드, 1967)
  • Faith at the Frontiers영어 (개척지에서의 믿음) (무디, 1969)
  • Evangelicals in Search of Identity영어 (정체성을 찾는 복음주의자들) (워드, 1976)
  • God, Revelation and Authority영어 (하나님, 계시, 권위), 6권 (워드, 1976–83)
  • The Christian Mindset in a Secular Society영어 (세속 사회에서의 기독교적 사고방식) (멀트노마, 1984)
  • Christian Countermoves in a Decadent Culture영어 (퇴폐적인 문화에서의 기독교적 반격) (멀트노마, 1986)
  • Confessions of a Theologian: An Autobiography영어 (신학자의 고백: 자서전) (워드, 1986)
  • Twilight of a Great Civilization영어 (위대한 문명의 황혼) (크로스웨이, 1988)
  • Evangelical Affirmations영어 (복음주의적 확언) (존더번, 1990) (케네스 칸처와 함께 편집)

6. 영향

칼 헨리는 20세기 초 근본주의-모더니즘 논쟁에 대한 반작용으로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등장한 신복음주의 발전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10] 그는 정통 기독교 신학과, 기독교 내부에 국한되지 않는 더 광범위한 문화 참여를 결합한 새로운 운동을 만들고자 했다.[10] 데이비드 F. 웰스는 헨리가 성경의 권위에 대한 믿음과 기독교의 기초로서 하나님의 중요성이 20세기 초의 신학적 자유주의와 대조적으로 더 성경에 근거한 신학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한다.[11]

헨리는 일본, 싱가포르, 인도, 라이베리아, 대한민국, 유고슬라비아, 필리핀, 네덜란드, 루마니아를 포함하여 미국 전역 및 전 세계의 대학, 대학교, 신학교 및 컨퍼런스에서 객원 교수 또는 초빙 강사로 가르쳤다.[2] 그는 또한 1966년 베를린에서 열린 세계 복음주의 회의를 포함한 국제 회의 및 협의의 의장을 역임했다.[7] 그가 가르친 기관은 다음과 같다.[2]

기관명
아시아 신학 연구 및 선교 센터
베델 대학교 (미네소타)
크리스찬 신학 신학교
컬럼비아 성경 대학교
덴버 보수 침례교 신학교
고든 신학대학 (현재 고든-콘웰 신학대학교)
힐스데일 칼리지
홍콩 침례교 대학 (현재 홍콩 침례교 대학교)
라틴 아메리카 신학 신학교
숭실대학교
이스턴 침례교 신학교 (현재 팔머 신학 신학교로 개명)
사우스턴 침례교 신학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교
위노나 레이크 신학 여름학교



헨리의 영향력은 복음주의 잡지 《크리스채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를 창간하고 풀러 신학 대학교와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하지 않았다면 그렇게 멀리까지 미치지 못했을 것이다.[8] 헨리의 영향력 이후 몇 년 동안 신복음주의는 보수주의와 문화 전쟁에 더 집중하기 시작했지만, 헨리의 유산은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신복음주의자들에게 사회 정의에 대한 강조와 보수주의적 관심사를 넘어선 문화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더 광범위한 평가로의 변화를 촉진하도록 영감을 주었다.[8]

7. 가족

칼 헨리의 아내 헬가 벤더 헨리는 1955년에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연합 구조 선교회에 관한 책을 썼다. 1999년에는 부모의 그 나라에서의 활동에 관한 책인 ''맑은 날의 카메룬''을 출판했다.[4]

그의 아들 폴 B. 헨리는 1985년부터 1993년 사망할 때까지 미시간 출신의 미국 하원 의원이었다.[5]

참조

[1] 논문 Understanding 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ism http://dx.doi.org/10[...] 1991
[2] 웹사이트 "Henry's Story {{!}} Carl F. H. Henry Institute for Evangelical Engagement" http://www.henryinst[...] 2018-02-08
[3] 웹사이트 Papers of Carl F. H. Henry - Collection 628 (Archival Finding Aid) https://web.archive.[...] 2017-05-27
[4] 간행물 Helga Bender Henry https://web.archive.[...] Oak hill cemetery 2009-09-20
[5] 뉴스 Representative Paul B. Henry, 51, Dies After Battling Brain Cancer https://www.nytimes.[...] 1993-08-01
[6] 간행물 Carl F.H. Henry, Theologian and First Editor of Christianity Today, Dies at 90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2003-12-01
[7] 백과사전 Henry, Carl Ferdinand Howard: theologian, educator Marquis Who's Who LLC 2016
[8] 뉴스 How the Late Carl Henry Helped Invent Evangelicalism http://www.christian[...] 2004-03-01
[9] 서적 God, Revelation, and Authority
[10] 서적 Awakening the Evangelical Mind: 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Neo-Evangelical Movement Zondervan
[11] 서적 God in the Wasteland: The Reality of Truth in a World of Fading Dream
[12] 서적 A Community of Character: Toward a Constructive Christian Social Ethic
[13] 문서 "[[宇田進]]「ヘンリ、カール・ファーディナンド・ハワード」『新キリスト教辞典』p.1134"
[14] 문서 "[[舟喜信]]「ベルリン宣言」『新キリスト教辞典』p.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